반응형

투자 이야기 476

신영밸류 고배당펀드 운용 REPORT<주요 펀드>

제가 가진 펀드 중, 가장 믿을 만한 주식형 펀드 운용경과 신영밸류고배당증권자투자신탁(주식)의 최근 3개월 수익률은 -4.30%로 비교지수 수익률 -0.66% 대비하여 3.64%p 하회하였습니다.(비교지수(벤치마크): KOSPI X 90% + CD91 X 10%) 분기 초 국내 증시는 국내외 경제 지표가 대부분 호조를 보인 가운데 국내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경제 활동의 정상화 기대감으로 상승흐름을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예상치를 하회한 미국 고용지표와 금리하락, 델타변이 확산과 경기 정점 우려로 지수 전반적으로 상승탄력이 둔화되는 모습이 었습니다. 여기에 중국발 규제 리스크와 조기 테이퍼링주 이슈와 함께 디램 가격 하락에 따라 반도체 대형주의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KOSPI는 3,060pt까지 하락하였습니..

투자 이야기 2021.10.07

CJ CGV, 외국인이 지금 사랑하는 회사

삼성증권이 17일 CJ CGV에 대해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정책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2만7000원에서 3만3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다만 여태 쌓인 재무 부담이 상당 규모인 탓에 투자의견은 ‘중립’을 유지했다. 최민하 상섬증권 연구원은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봉쇄 등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 및 위기 장기화로 ‘위드 코로나’에 대한 기대가 커지며 국내외 영화관 시장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는 2022년으로 밸류에이션 시점을 이전했다”고 설명했다. 최 연구원은 “다만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부터 수익성 부진 등으로 재무 부담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투자의견은 중립을 유지한다. OTT(Over The Top) ..

투자 이야기 2021.09.27

BGF리테일, 안정적인 성장(목표가 22만원)

하반기 안정적 성장 기대 BGF리테일 하반기 실적은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유는 1) 백신접종률 증가에 따라 외부활동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 2) 학교 및 일부 특수입지 집객력 회복 가능성, 3) 재난지원금 지급에 따른 효과가 기대. 3분기 영업실적은 매출액 1조 8,669억 원(전년동기대비 +10.9%), 영업이익 796억 원(전년 동기대비 +25.1%)에 이를 것으로 추정한다. 8월 영업환경은 무더위와 강수 여파로 부정적이였지만, 9월의 경우 재난지원금 지급 및 우호적인 날씨로 긍정적일 가능성이 높다. 재난지원금에 따른 마진율 하락 우려는 기우 3~4분기 기존점 성장률은 재난지원금 유입에 따른 효과가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일부에서는 지난해와 유사하게 담배 비중 상승에 따른 마진율..

투자 이야기 2021.09.26

SK텔레콤, 분할 전 매수해야 하는 이유(유안타 리포트)

인적 분할 통해 경영진의 대리인 문제 극복 인적 분할은 동사의 사업 모델에 최적화된 거버넌스로의 전환으로 이어지면서, 향후 개별 사업 성과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전망이다. 분할 전 SK텔레콤의 경영진은 11번가, 우티 등의 사업 확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필연적 비용에 대해 통제를 가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모회사와 자회사의 경영진과 이사회간 의사 결정 과정에서 이해 상충 요소가 다분했고, 이로 인해 상당히 기묘한 형태의 전략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던 것이 11번가가 직면한 현실이었다. 글로벌 스토어를 통해 국내 3위 온라인 커머스 업체로 레벨업 추진 월 4,900원, 9,900원으로 구성된 우주 패스에는 11번가 아마존 글로벌 스토어 무료 배송, 포인트, 구글 원 멤버쉽 100GB 클라우드 서비스에 ..

투자 이야기 2021.09.25

카카오, 사야하나? 팔아야하나? feat. 나는 샀음

카카오의 주가가 7거래일 만에 반등해서 전 거래일 대비 4500원(3.91%) 상승한 11만9500원에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세가 주가를 끌어올렸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43억원과 46억원 매수) 주가 하락이 지나치다던 증권사도 목표가를 낮추기 시작했다. 지난 9월 16일 삼성증권과 한화투자증권은 카카오 목표가를 각각 10%, 8.1% 하향 조정했다. 한국투자증권도 목표주가를 18만원에서 16만원으로 끌어내렸다. 국내 증권사가 카카오 목표가를 낮춘 것은 지난해 4월 이후 1년 5개월 만이다. 일부 외국계 증권사도 카카오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내비쳤다. 지난 9월 15일 모건스탠리는 카카오에 대해 투자 의견을 ‘비중 축소(Underweight)’로 낮췄다. 출처:카카오 : 네이버 금융 (..

투자 이야기 2021.09.24

엘엔에프, 급등이유(9/24일)

테슬라 향 2차 수주 5조원 이상 by 미래에셋증권 리포트 한방! 근데, 24년도 eps를 끌어다가 target price를 설정했네. 목표주가 26만원으로 상향, 대규모 수주는 지속된다  목표주가 26만원으로 상향(24년 예상 EPS에 Target P/E 33배 적용)  적용 EPS 시점 23년  24년으로 변경, 양극재 2차 대규모 수주 사이클 도래  Target P/E도 기존 대비 10% 상향 조정하였는데 이는 타 양극재 업체 대비 최종 OEM인 테슬라의 수요 가시성이 높기 때문  현재 동사의 시가총액은 23년 생산능력 기준, 매출액 기준, 영업이익 기준 경쟁사 대비 저평가(23년 P/E 비교: 포스코케미칼 54배, 에코프로비엠 43배, 엘앤에프 30배) 양극재 2차 대규모 수주 사이클 시..

투자 이야기 2021.09.24

퍼시스,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

퍼시스, 매우 지루하고 느린 종목이지만, 꾸준한 매출, 영업이익 그리고 배당(시가배당수익률 : 2.6%)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 들고 가기 좋은 회사인 듯 합니다. 퍼시스 그룹은 사람과 공간을 이어주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양한 생활환경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창립 이후 업계 최고의 자리를 놓치지 않는 국내 대표 사무가구 전문브랜드 퍼시스(FURSYS)를 비롯해 생활가구 전문브랜드 일룸(iloom), 의자 전문 브랜드 시디즈(sidiz)를 통해 고객에게 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주구성 퍼시스홀딩스 (외 11 인) 54.7% 자사주 20.0% FIDELITY 9.5% 퍼시스 그룹의 생산 담당: 최근 DESKER(일룸 브랜드) 강화 수혜 동..

투자 이야기 2021.09.24

퇴직연금(DC형) 주식투자 수익률

재작년, 우연히 퇴직연금으로도 내가 직접 펀드를 매수해서 운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고 나서 바로 신한은행 어플을 깔아서 퇴직금 전부를 주식형을 몰아 넣었다. ㅎㅎ 우선 관련 내용은 아래 블로그 글을 먼저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퇴직연금 주식형 변경 feat. 1년 수익률 - https://gimhaechonnom.tistory.com/m/460 퇴직연금 주식형 변경 feat. 1년 수익률 작년 이맘 때쯤 퇴직연금을 제가 스스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로 퇴직연금에 있던 채권, 현금을 모조리... 주식형 펀드에 몰아넣었습니다. 그 덕에...은행으로부터 경고문도 날라왔 gimhaechonnom.tistory.com 어쨋든, 그렇게 시작한 퇴직연금 주식투자가, 매우 위험한 것이란 것을 안..

투자 이야기 2021.09.23

AI 관련주 종목 공부 예정

오늘 유튜브를 보다가 AI 관련주로 아래 종목들이 나열되어 있길래, 공부 삼아 나중에 보려고 합니다. 플리토 제이엘케이 라온피플 신테카바이오 웨세아이텍 바이오컴퍼니 아래 종목 중에 현재 들고 있는 회사는, 국내는 플리토 해외는 엔비디아 …정도가 있네요^^ 해외는? 레모네이드 텔레닥 나이키 엔비디아 메이티안(메이퇀디엔핑인듯 하네요;) 바이트댄스 센스타임 하나씩 공부해봅시다!

투자 이야기 2021.09.22

"자녀 퇴사" "계열사 결집"…카카오 buy call

몇 달 전, 카카오 주가가 갑자기 급등하면서, 언제나 그렇듯 급등은 급락을 낳는다는 저 스스로의 소신 아래 13~15만원대에서 분할 매도를 했었고, 약 17만원까지 더 오르면서 '역시 나는 하수에 불과하다'는 마음을 다시 한번 갖게 됐었는데 갑작스런 카카오 그룹에 대한 전반적인 이슈로 인해 이번주 초까지 11~12만원대까지 급락을 했었습니다. 다시 한번 기회가 찾아온 듯 합니다. 우선 12만원대부터 분할 매수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사실, 카카오의 많은 계열사 분리와 IPO를 보면서 카카오와 분사된 각 계열사 간의 이해상충문제도 있을 뿐더러, 카카오는 빈 껍질이 될 수 밖에 없지 않을까? 하는, 다소 NAVER와는 다른 방향으로 가는 점이 약간 망설여졌는데, 아래 뉴스를 보니 "자녀 퇴사" "계열사 결집"..

투자 이야기 2021.09.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