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 이야기 476

텐센트, 실적은 좋지만...어둡다. 목표가:939 hkd

한 때, 홍콩 상장 회사 중, 가장 많은 비중으로 담고 있던 텐센트. 알리바바 회사에 대한 규제를 보고, 비중 축소->전량 매도. 꽤 높은 수익률을 남겼었는데, 최근 중국의 규제 칼날이 너무 매서운 듯 하네요. 시간이 지나면 규제는 줄어들 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서 계속 지켜보고 있는 기업인데...최근 여러 뉴스와 함께 실적발표가 있어 정리해봤습니다. 2021년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오픈 feat, 테슬라, 텐센트, 우시앱텍, 우버, 엔비디아, 암웰, 베이진, etc (tistory.com) 2021년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오픈 feat, 테슬라, 텐센트, 우시앱텍, 우버, 엔비디아, 암웰, 베이진, e 최근에, 여러 해외주식 계좌에 분산되어 있는 주식에 대해서, 나름 어떤 기준과 방향으로 해서 포트폴리오를 짰..

투자 이야기 2021.08.24

중국 항서제약 실적 review + 목표가

상해 상장 주식 중, 유일하게 들고 있는 "항서제약", 언제나 그렇듯, 내가 사서 그런지 주가가 푸른 바다구나... 실적도 크게 하회, 주가도 크게 하회...^^;; 장투다...ㅜ 정부 보험 효과 기대 이하, 시장 기대치 크게 하회, 중국 항서제약 목표가 CNY 100.00 시장 기대치 크게 하회하는 실적 발표 1H21 매출액 133억위안(+17.6% YoY), 지배순이익 26.7억위안(+0.2% YoY) 2Q21 매출액 63.7억위안(+10.1% YoY), 지배순이익 12억위안(-13.7% YoY) 2021 연간 실적 성장 컨센서스 매출 +22% YoY, 순이익 +17% YoY을 고려했을 때 시장 기대치를 크게 하회하는 실적 발표. 영업 외 1회성 요인 스톡 옵션 비용 등을 고려한 반기 순이익 성장률 ..

투자 이야기 2021.08.24

SK, 머티리얼즈와의 합병 결정

소재부문 경쟁력 강화를 위한 SK 머티리얼즈와의 합병 결정 SK 는 8 월 20 일 이사회를 통해 SK 머티리얼즈와의 합병을 결정. SK 머티리얼즈가 물적 분할 후 지주부문 존속법인과 SK 가 합병하는 방식으로 SK 는 합병대가로 신주를 발행할 예정. 이번 합병으로 SK 그룹의 첨단소재 부문 사업주체의 일원화를 통해 추가적인 M&A 가 용이해졌음. SK의 글로벌 투자역량과 투자재원을 활용하여 2025 년 반도체 첨단소재 부문 EBITDA 2.7 조원 달성 계획을 위한 초석마련. 궁극적으로 SK 기업가치 상승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 8 월 20 일 이사회를 통해 SK 는 SK 머티리얼즈와의 합병을 결정하였다. 합병방법은 SK 머티리얼즈가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한 후 지주부문인 존속법인과 SK 가 합병하게 된다..

투자 이야기 2021.08.23

NEW, 주식추천. 정말 긴 안목으로 봐야할 회사. 상승여력 200%

NEW, 손실을 열심히 보는 투자회사이지만, OTT, 탈코로나 시대의 영화 등 여러 면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투자하기 좋은 회사일 듯 하다. 목표가는 24,000원. 현재가는 8700~8800원대. 나의 평단은 1만원 위... 적자지속이란다… 2분기 영업손실 29억원(적자지속) 영화사업 위주의 별도 부문은 넷플릭스에 런칭된 영화 효과에 힘입어 상반기 15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2분기 연결기준으로는 매출액 288억 원(yoy +19.6%), 영업손실 29억원(적지)을 기록했다. 드라마 편성 매출과 뮤직 콘텐츠 부문의 실적이 꾸준함을 보인 반면,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영화시장 냉각에 따른 개봉작 부재와 스포츠 부문의 부진 지속도 동반 발생하였다. 하반기에는 디즈니 플러스에 릴리스 될 드라마 2편에..

투자 이야기 2021.08.21

NVIDIA(NVDA US), 2Q22 실적 Review

TESLA와 함께, 개인적으로 제일 많은 비중을 가지고 있는 최애주식, NVIDIA(엔비디아)의 2분기 실적 자료가 미래에셋에서 나와서 올려봅니다. 엔비디아 목표가 US$ 250 , 배당수익률 0.08% 2Q22 Review 예상대로 양호한 실적  2분기 매출액 65.1억달러(+14.9% QoQ, +68.3% YoY) EPS$1.04 예상 상회  Gaming 매출액 30.6억달러 (+10.9% QoQ, +85.1% YoY)  노트북/데스크탑용 게이밍 /콘솔 등 수요 강세 지속 RTX 3080/70/60 Ti 신제품 효과로 게이밍 부분 강세 지속  암호화폐 채굴 전용 CMP 2.66억 달러 (전체 매출 4.1% 수준)  Datacenter, 전년동기 대비 35.0% 성장한 23.7억달러 기록 ..

투자 이야기 2021.08.20

스튜디오드래곤 Q&A 그리고 목표가

대신증권에서 너무 좋은 IR자료(Q&A)가 나와서 정리해서 올립니다. 스튜디오드래곤의 주주로써, 이런 자료 너무 좋네요!^^; 이제 스튜디오드래곤의 주가만 올라가면 될 듯... QnA 1. 2Q 실적이 조금 부진했던 이유 - 2Q 실적이 조금 부진했던 이유는 일시적인 편성 부족. 하반기에는 정상화될 것. 방영편 수는 16부작 기준으로 환산시 3.8편(-50% yoy). ENM이 연간 3~4편 정도 자체 드라마 편성. 1Q20 , 2Q20 , 4Q20 , . 올해는 1Q21 , 2Q21 , 편성. 2Q에 ENM 자체 드라마가 증가하면서 드래곤 제작 작품이 하반기로 편성으로 변경. 2Q20에 있었던 지상파향 , 의 high base도 영향. 편수는 적었지만, 구작 판매가 진행되면서 마진은 지속적으로 개선. ..

투자 이야기 2021.08.19

진정한 가치주, Per 3대 대한제강

대한제강 실적만 보면, 앞으로 주가가 갈 길이 상당히 멀 듯 한데... 기존 보유하고 있다가, 최근 현금 확보 차원에서 매도 버튼을 누르고야 말았지만, 현대제철, POSCO와 함께 저평가주로써는 손색이 없어 보인다.(근데 진짜 예수금이 바닥이라 사지 못해서 아쉬울 뿐...) “대한제강, 철근업황 호조로 하반기에도 실적개선 지속” (news2day.co.kr) “대한제강, 철근업황 호조로 하반기에도 실적개선 지속” [뉴스투데이=장원수 기자] 키움증권은 18일 대한제강에 대해 국내 철근업 호황에 따라 하반기도 역대급 실적호조가 이어질 전망이며, 8월 23일자로 YK스틸 지분율이 기존 51%에서 71% 확대되는 점도 www.news2day.co.kr 중소형주 Top pick : 대한제강 2분기 실적은 철근업 ..

투자 이야기 2021.08.19

DI동일, 언제 목표가가 45만원까지나?!!

분명, 몇 달 전에 주가가 9만원이었는데... 이제 목표가가 45만원이네?!! 왜 미쳐 몰라봤을까 반성해봅니다...ㅠ.ㅠ 자산株 DI동일 "올해 성장株 변신" 자산株 DI동일 "올해 성장株 변신", 빅데이터 이 종목 6년간 적자 사업 정리 의류·알루미늄 등으로 다각화 www.hankyung.com 국내 추가 증설, 해외에는 직접 진출 예정 DI 동일의 자회사인 동일알루미늄은 국내 최대의 전기차 배터리용 알루미늄박 제조업체이다. 국내에 4개의 생산라인이 있는데, 최근 부지를 매입하고 추가증설을 시작했다. 해외시장에도 직접 공장을 신설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미국이 유력해 보이나, 유럽시장에도 순차적으로 진입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증설 싸이클로 동사는 9 개 이상의 알루미늄박 제조라인을 보유 하게 될 것..

투자 이야기 2021.08.18

크래프톤 목표가 72만원

게임에 대해서 잘 아는 사람이라면 크래프톤에 투자하기가 쉬었을 듯 한데, 여러 채널에서 나오는 크래프톤에 대한 과도한 주가라는 뉴스가 1주만 사서 지켜보게 만든 듯 합니다. 다행히 오버밸류라고 한들, 카카오뱅크처럼 바닥을 찍고 계속 올라와줘서 마음은 편하네요. 어제 나온 메리츠증권의 크래프톤 리포트를 정리해봅니다. 뉴스핌 - [종목이슈] 크래프톤, 야금야금 공모가 근접...수급부담 떨쳤나 (newspim.com) [종목이슈] 크래프톤, 야금야금 공모가 근접...수급부담 떨쳤나 [종목이슈] 크래프톤, 야금야금 공모가 근접...수급부담 떨쳤나 www.newspim.com 나는 물론 크래프톤 1주가 있는 소액주주다...ㅎ 글로벌 IP Holder의 밸류 입증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593억원(+2..

투자 이야기 2021.08.18

CJ CGV, 코로나 이후의 최선호주 & 목표주가

다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서 다소 불투명한 실적이 앞으로도 예상되고, 넷플릭스 등의 OTT로 인해서 영화관을 안 갈 것처럼 다들 얘기하지만, 당장 나도...아이들과 함께 요즘 1달에 1번씩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보는 중입니다. 여기서 놀라고 있는 건, 영화표 가격이 어느샌가 많이 올라갔다는 것이고, 아직도 매점에서 음료를 제외하고는 팝콘 같은 음식을 들고 가는 게 불가한 상황인데...만약 이런 제재/규제가 풀린다면, 앞으로 평생 안 갈 것처럼 하는 영화관을 어느 순간 조금씩 가게 되고...영화관/극장에서 보지 않으면 1도 재미 없을 듯한 SF 액션 영화가 한꺼번에 쏟아진다면, 극장도 다시 한번 큰 기회가 오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목표주가 34,000 원으로 25.9% 상향 2Q21 Re..

투자 이야기 2021.08.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