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뉴스

'취업난' 청년도 "지방 싫다...

회사원 1센치 2022. 6. 8. 05:08
반응형

실제로 이런 분위기다...현장에서 느끼는 중.

아무리 구인광고를 1주에 800만원 씩 주고, 취업광고를 내도 2~3년 전처럼 이력서 수십장씩 들어오지 않는 중.

연봉을 더 올리거나, 복지혜택을 더 늘려야 할텐데, 중소기업은 아니지만 대기업이 아니기에 그마저 쉽지 않을 듯.

 

'취업난' 청년도 "지방 싫다…연봉 1000만원 더 주면 몰라도" - 아시아경제 (asiae.co.kr)

 

'취업난' 청년도 "지방 싫다…연봉 1000만원 더 주면 몰라도"

수도권과 지방 간 인구·일자리 양극화가 심각하지만 구직난에 시달리는 청년들도 지방 근무는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청년 301명에게 '지방근무 인식조사'를 한 결과를

www.asiae.co.kr

 

수도권과 지방 간 인구·일자리 양극화가 심각하지만 구직난에 시달리는 청년들도 지방 근무는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청년 301명에게 '지방근무 인식조사'를 한 결과를 발표했다.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지에 대한 응답률을 보면 '다소 그렇다'가 49.2% '매우 그렇다'가 23.6%였다. 넷 중 셋꼴로 꺼린다고 답한 것이다. 비수도권 입사 지원 경험을 묻자 '전혀 안 한다'가 34.5%나 됐다. 셋 중 하나는 조건도 따지지 않고 지방이면 지원을 안 한다는 의미다. '가급적 안 한다'는 31.6% 공기업 등에만 제한적으로 지원은 19.6%였다. 지방 근무 기피 이유로는 '가족·친구 등 네트워크가 없어서'(60.7%) '생활·문화 인프라가 열악해서'(59.8%) 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 밖에 '원하는 직장이 없어서'(14.2%) '성장기회가 부족해서'(6.8%) 등도 거론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출된 청년인구는 약 9만1000명으로 2010년보다 1.7배 이상 늘었다. 비수도권 인구 중 청년 비중 역시 2010년 19.7%에서 2015년 18.8% 2020년 17.6%로 계속 떨어졌다. 서울에 사는 A씨는 "서울은 늦어도 10분만 기다리면 버스가 오는데 지방은 차 없이 이동도 어렵고 서울 어디서든 되는 당일배송도 안 된다더라"며 "생활 인프라도 부족한데다 가족도 친구도 없으니 지방에 근무하고 싶지 않은 게 당연하다"고 털어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