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목표주가, 글로벌 자율주행 Top Pick
현재, 해외 주식계좌에서 가장 높은 비중으로 보유 중인 TESLA(테슬라)

미래에셋증권에서 가끔 나오는 리포트로,
심하게 주가가 요동 칠 때 마음을 다스리고 있다.ㅎㅎㅎ
테슬라 요즘 욕은 많이 먹던데...
그래도 욕하면서도 사는 차가 TESLA가 아닌가 싶다.
그만큼 자율주행으로는 전세계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고 본다.

이제 돈도 없어서 테슬라 주시을 늘리지는 못하지만,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약 10년간 보유 예정이다!
아래는 미래에셋증권에서 나온 전기차 리포트 중, TESLA 부분을 발췌해서 공부해봅니다.
발췌:<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3231303731325FB1DBB7CEB9FA20C0DAC0B2C1D6C7E02028C1BEC7D5292E646F6378> (miraeasset.com)
미래에셋증권, TESLA 목표가 $850
구조적 경쟁 우위
다가오는 레벨 업의 시간, 글로벌 자율주행 Top Pick으로 제시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의 핵심은 고품질 데이터와 AI: 테슬라는 범용 센서 기반 시스템으로 주행 데이터 확보 중.
또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AI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경쟁력, OTA를 통한 차량과 데이터센터간 연결성, 중앙집중형 아키텍처 등 강점
특히 소프트웨어 2.0과 4D 라벨링의 적용, 슈퍼 컴퓨터의 도입 등으로 21~22년 자율주행 경쟁력 한 단계 레벨 업 예상: FSD V9 상용화와 구독 서비스 출시, AI 데이 등으로 경쟁 우위 확인될 전망
중장기적으로 자동차/빅테크 업체 대비 차별화 포인트는 확장성과 수직적 통합: 범용 센서와 저해상도 지도를 이용해 확장이 용이. 또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수직 계열화되어 있어 시스템 효율성이 높을 전망
글로벌 자율주행 산업 Top Pick, 목표가 850달러와 매수 의견 유지

리스크 요인은 FSD V9 출시 지연 가능성 및 높은 밸류에이션. 안전성이 중요한 자동차 산업 특성상 지연 가능성은 있으나 기술 발전 방향은 유효하다고 판단.
레벨 업의 시간
FSD V9와 AI 데이 통해 경쟁력 및 향후 수익 창출력 확인될 전망
FSD V9은 소프트웨어 2.0과 4D 라벨링, 슈퍼 컴퓨터가 적용된 시스템이 처음으로 상용화: 기존 대비 차별화된 사용자 편의 및 안전성 제공할 전망. 이를 통해 자율주행 시스템의 이익 창출력과 중장기 레벨 4 이상으로의 발전 가능성도 확인 가능할 전망
중장기적으로 자동차/테크 업체들도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되나 동사의 확장성 높은 범용 시스템 및 수직적 통합 구조는 경쟁 우위로 작용할 전망

벌써 테슬라를 보유한지 약 2년이 흐르는 듯 한데…

약 10년 뒤 멋진 투자 결실을 맺길…